본문 바로가기
국내 부동산 투자/세금

국내 및 해외 부동산 취득세율을 알아보자 - Intro

by 평범함속비범함 2018. 9. 17.

국내 및 해외 부동산 취득세율을 알아보자 - Intro


최근 급격하게 상승한 한국 부동산 재산세들(주택+토지)와 종합부동산세에 대해 세율논란이 있을때마다 정부는 우리나라 부동산 보유세가 다른 선진국가들에 비해 적다고 발표를 하고 해외 부동산의 취득세 및 보유세가 어떤지 모르는 대다수의 국민들은 이게 사실인줄알고 부자증세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간단히 답을 하자면 우리나라 부동산 구입, 보유 및 양도와 종합부동산세를 포함한 부동산 세금은 세계 최고 이며 비슷한 수준의 나라도 찾기 힘들정도 입니다.


더불어, 우리나라 부동산 세금들은 합리적인 면도 배제되어 리스크를 지고 투자를 한 투자자들에 징벌적 세금을 매기는 것으로 유명하며 국토 분단등의 정치적 이유도 있지만 이런 과도한 세금때문에 국제적인 투자자들이 한국에 투자를 안하는 상황 입니다.


비합리적이라는 이유는 다른 선진국들의 경우;

- 전세제도가 없이 월세만 있으며 월세 소득비율이 재산가액의 4~6% 정도로 보유세가 우리나라 보다 비싸도 월세를 통해 충분히 보유세를 내고 수익을 얻을수 있다. (단, 전세제도가 없는 이유로 우리나라 처럼 갭투자 - 일명 갭 투기는 어렵다)



- Investment profits(=capital gain,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요) 에 대해 risk를 가지고 수익을 얻은 것에 대해 인정을 해 양도소득세가 합리적이다. (2,3주택자 이상에게 우리나라 처럼 50%, 60% 씩 과세하지 않습니다)


- 상속세에 대해 중산층 정도의 상속세는 이미 소득세등으로 세금 징수를 했기에 상속세 면제를 하고 있으며 이런 추세는 점점 더 많은 나라로 퍼지고 있는 추세 입니다. 향후, 이 부분도 주요 나라들에 대해 다룰 예정이나 미국이나 캐나다의 경우 개인당 약 50억의 상속금액은 면세 입니다.


- 일부 동남아 국가들은 보유세가 없습니다.


위 내용들을 투자에 활용한다면 개인적으로 여유가 있고 해외 특정 국가에서 노후를 보내거나 투자를 하실 생각이 있으신 분들은 향후 자식에게 상속시 상속세도 면제 받을수 있어 단순 계산으로 우리나라 부동산에 투자시 얻는 수익과 해외 부동산 투자시 얻는 수익이 동일하다고 가정시 상속세로만 몇억을 아낄수 있습니다. 이게, 부자들이 해외 부동산 투자를 하는 주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또, 동남아시아 예로 태국 이나 필리핀의 경우 연 평균 7~10% 이상의 부동산 가격 상승이 이루어지고 있어 우리나라 대비 상당한 투자 수익도 올릴수 있습니다.


그러니, 부자가 아니더라도 열심히 알아보고 노력해서 모두 성공적인 투자를 하시고 제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서 좀 더 많은 투자처와 투자 방법 및 절세를 해 성공적인 자산 증식을 하셨으면 합니다.


댓글